자료/연구

국가유산이야기

조각장 김철주
발행일 : 2021-01-21 조회수 : 7350
조각장 김철주

1933. 8. 25 ~ 2015. 3. 30. | 보유자 인정: 1989년 12월 1일

위대한 국가유산
국가유산진흥원의 국가무형유산이야기
조각장 김철주

국가무형유산 조각장
Master Artisan of a Metal Engraving skill

우리의 전통 금속공예가 외국 조형품에 밀려 제대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사라져 가는 것이 너무 안타까워요. 장인의 기술보다 더 중요한 것은 바로 전통의 맥을 지켜 나가는 정신입니다. (중략) 웬만한 상감 조각 하나 만드는 데 6개월에서 일년이 걸려요. 모든 과정을 손으로 새겨 넣거나 깎아내는 작업은 마치 고승이 암자에서 홀로 도를 닦는 인고의 과정이나 다름없어요.

- 세계일보 2007.01.17 국가무형유산 김철주 조각장 인터뷰 중

금속에 생명을 불어넣는 조이질

금속공예품을 다루는 장인인 조각장(彫刻匠)이 하는 일은 무엇인가를 파서 형태를 완성한다기보다는 오히려 어떤 형태를 지닌 물건의 표면을 두드리거나 깎아 무늬를 새겨서 표면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것이다. 사실상 조각장이 하는 역할에 더 적합한 말은 조각이 아니라 금, 은, 동 따위의 금속제품에 어떤 무늬를 새기는 것(쇠붙이로 된 물건에 무늬를 쪼아 새기는 일)을 의미하는 ‘조이(雕?: 본래 한자말이 아니라 한자 취음)’이다. 조각장(彫刻匠)이란 명칭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조선시대에는 조이장(彫伊匠, 雕?匠)이라고 했다. 조각이 된 금속공예품은 청동기시대 유물에서도 나타나고 삼국시대에는 무기류, 칠지도(七支刀), 마구, 화살통, 철제은입사장식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포류수금문정병]처럼 선상감 제품이, 조선말에는 경회루 같은 풍경을 새긴 화각기법을 많이 볼 수 있다.

전통수공예는 조선조 이래 중앙의 경공장과 지방의 외공장(조선시대 지방관청에 소속되어 물품 제작을 담당한 지방기술자)에서 관수용품으로 맡아 제작하였는데 조선 후기 이후부터는 관청수공업체제의 붕괴와 더불어 금․은의 수급에 정부의 엄격한 통제가 가해지면서 공예적인 측면이 현저하게 쇠퇴하는 것이 이 무렵의 수공예 전반에 걸친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조선왕조가 붕괴됨에 따라 기술자들은 자연히 광교천변으로 모여 들어 은방도가(銀房都家)를 열어 그 명맥을 유지했고 뒤이어 이왕직미술품제작소가 은방도가를 계승, 발전시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서울 광교천변에 군집해 있던 금은방도가에는 입사장․조각장 등의 금은세공인이 종사하였는데, 금속공예품을 만드는 도가(都家)는 주전자, 담배합, 신선로, 화병 등을 만드는 대공방(大工房)과 비녀, 가락지, 방울, 노리개 등의 패물과 수저를 만드는 세공방(細工房)으로 나뉘어 있었다. 오늘날에도 이와 같은 대공방과 세공방의 기본 체제는 같으나 다루는 재료나 품목이 전보다 다양해졌고 기물의 작고 큰 것에 의한 분류라기보다는 신변장신구, 혹은 일상생활용품에 따른 용도별 구분으로 세공과 대공의 영역이 나뉘어진다. 이렇게 대공방과 세공방에서 만들어진 금속제품에 대공, 세공별로 무늬나 글씨를 새기는 것이 ‘조이장이’의 일이었는데 옛날에는 은세공이 주였지만 개화의 추진과정에서 조각기술의 전통은 크게 위축되었다.

조각의 기법과 문양

조각장, 조이장의 ‘조이’란 옛 문헌에는 타출(打出), 누화(鏤花) 등으로 표기되었다. 우리의 전통적 금속표면 장식기법으로 금속제품에 무늬나 글씨를 새기는 것이 조각장의 일이다. 조각은 음각과 양각으로 크게 구분하지만, 둘 다를 포함한다. 다시 풀이하면, 파새김은 조각(engraving)이고, 돋을새김은 금속판을 두드려 입체감을 나타내는데 서양의 체이싱(chasing), 레푸제(repousse)이며 일본식 조금(彫金)이다. 조이에는 조각과 상감기법이 있다. 조각기법은 선각(線刻), 화각(花刻), 고가(高刻), 투각(透刻), 육각(肉刻)으로, 상감기법은 선상감(線象嵌), 면상감(面象嵌), 절상감(切象嵌), 눈금상감(포목상감, 布目象嵌), 고육상감(高肉象嵌), 소상감(銷象嵌) 등의 기법으로 나뉜다.

조각의 문양은 다른 전통공예품처럼 수복강녕, 부귀다남을 염원하는 내용들인데, 직선으로 연결한 기하학적인 뇌문(雷紋), 회문(回紋), 아자문(亞字紋)과 태극문, 팔괘문, 물가풍경인 포류수금문(蒲柳水禽紋), 구름문과 용문, 봉황문, 박쥐문, 새우문, 나비문, 연화문, 당초문, 모란문, 만자문, 범자문, 귀면문, 쌍희자문, 수복문, 십장생문 등이 주로 표현된다.

혼을 두드려 예술을 새기다 - 조각장 김철주 선생

김철주 선생은 국가무형유산 조각장 초대 기능보유자인 김정섭 선생(1899~1988)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일찍이 부친 김정섭 선생이 경영하고 있던 삼광상회에서 일을 도와가면서 금속조각을 차츰 배우기 시작하였다. 이때는 일제 강점기 말기로 금, 은, 동 등을 강제로 공출해 가서 일반인은 자유로이 사용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판매도 할 수가 없어서 가내수공업으로 주문에 의하여 제작할 때였다. 해방 이후에는 와룡동(지금의 창경궁 앞)에 공방을 차리고 각종 기물과 패물 등을 제작하며 조각 일을 시작하였다. 1947년 백하금속조각사(白下金屬彫刻社)라는 공방을 열고 기술을 연마하였다. 그 후 효자동 근처에 백하금속조각연구소라는 간판을 내걸고 작업을 시작하였으며, 1963년에는 보석상을 경영하다 1967년부터는 가내공업으로 장위동과 종암동 등에서 금은세공과 아울러 조각을 계속하였다.

전수교육활동도 꾸준히 하였는데 공방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는 것 외에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의 전신인 서라벌예술대학 공예과에서 조각기법 실기 기술을 강의하였으며 이후 국민대학교 공예과 및 홍익대학교 공예과 등지에서도 금속 조각기법을 강의하였다. 평생 동안 주로 제작한 형태는 조각과 오동, 금, 은입상감이 들어있는 화병, 향로, 함, 호리병, 쟁반, 잔대, 액자들이다. 화각, 상감(오동, 금, 은입상감)은 자주 쓰는 기법이다. 알루미늄에 전기착색(애노다이징)으로 조각을 처음 새긴 사람은 부친인 고 김정섭 선생인데 실험정신이 많았던 선생은 값비싼 은을 대신할 소재를 찾다가 라디오 부속판을 보고 힌트를 얻어 금속판에 조각을 시작했다. 현재 금속 공예가들이 애노다이징을 쓰기 시작한 것보다 십여 년 앞서서다. 김철주 선생도 그 뒤에 알루미늄판에 <반야심경> 등을 액자, 병풍 등으로 많이 조각하였다.

선생의 작품은 전통적 형태에 전통의 문양을 재창조해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작품형태는 이 시대의 형태라기보다 전통적 용도의 형태에 전통 무늬가 덮여있다. 사리함 같은 것은 매일 목욕재개를 하면서 몸과 마음을 추스르면서 작업을 했다. 그래선지 선생의 작품은 강렬하거나 격렬하지 않다. 어느 자리에서도 정중동이다. 부친의 타계 이후 뒤를 이어 1989년 12월에 국가무형유산 조각장 기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돌아가시기 전까지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내에 위치한 공방에서 작품 활동과 함께 제자들을 가르쳤다. 선생은 작품을 어떻게 해야 되느냐는 물음에 “작품에는 몸이 들어가야 한다.”라고 말하곤 했다. 활발한 작품활동과 전수활동을 지속하다 2013년 명예보유자로 인정되었고, 이후 2015년 향년 82세의 나이로 타계했다.

작품

은제 오동입 봉황 상감 화병 / 6×23cm

순은제 화병을 제작하여 밑그림을 그리고 바닥면에 홈을 파고 그 위에 금과 은을 넣은 후 상감을 하여 만든 작품

은제 오동입 봉황 상감 화병 / 6×23cm

작업도구와 제작과정

조이질에는 주로 망치와 정이 사용된다. 망치는 조각이나 상감할 때 정을 치는 것으로서 크기가 보통 형태의 망치보다 작은 소도리라고 하는 것을 사용한다. 망치 앞의 형태는 정을 때리기 좋게 평평하고 뒤는 납작해지면서 끝이 좁아지는 형태이다. 정의 종류는 같은 종류의 정이라도 용도에 따라 크기가 제각각이다. 정을 크게 분류하면, 금속을 파는 조각정인 절각용 정과 모양이 있는 정으로 무늬를 찍는 압각용 정 등으로 분류된다. 김철주 선생은 금속면을 깎거나 파내는 조각정과 다른 금속을 감입할 때 쓰는 상감정을 주로 사용한다. 이외에 금속을 조각할 바탕재료는 주로 은이나 동 같이 무른 금속이 많이 사용되고 상감재료로는 바탕재료보다 잘 늘어나는 금, 은이나 동을 사용하며 문양에 따라 선이나 판재가 선택된다. 금사, 은사는 순금과 순은을 사용하며 오동은 은을 바탕재료로 사용할 때 색상의 차이를 위한 것으로, 동에 10% 정도의 금을 합금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착색을 하면 까마귀처럼 검은 색을 낸다 하여 오동(烏銅)이라 한다. 또한, 조각이나 상감할 재료를 점력에 의해 고정시켜 주면서 망치로 정을 두드려 조각이나 상감할 때 그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하여 금속판의 변형을 방지해 주는 감탕이 사용된다. 감탕은 식으면 고체 상태로 단단하게 굳게 되고, 열을 가하면 걸쭉한 겔 상태로 녹아 흐르게 되므로 판재를 고정시키는 역할 뿐 아니라 기물 형태에 조이질 작업을 할때에도 기물 속에 채워 넣을 수 있으므로 매우 용이하다. 그밖에 걸음쇠, 갈기, 광쇠, 조이틀, 땜 가위, 풀무불통, 광약과 기름 등이 사용된다.

제작과정 (1)

제작과정 (1)

제작과정 (2)

제작과정 (2)

제작과정 (3)

제작과정 (3)

제작도구_여러가지 정들

제작도구_여러가지 정들

조각장 영상


(조각장 김철주 1주기 아카이브展)


프로그램 동영상 소스코드 정보
대본보기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서울 특별시 강남구
조각장 김철주 1주기 아카이브展
<조각장 김철주와 그의 유산, 일심유정> 전시 열려
조각, 서예 관련 영상문 등 34점 전시
국가무형유산 조각장 김철주의 작고 1주기 맞아 기획
국가무형유산 조각장 김철주(1933-2015)
조각장 김철주의 숨결이 묻어있는 작업도구, 공간등을 복원 전시
사리함 오동입상감원형과기
천자문 한국금속조각의 명맥을 이어온 유일한 조각장 김철주 업적 조망
저희 행사를 위해서 여기까지 찾아와주신 내외빈 여러분께 감사말씀 드리고요
나선화 / 문화재청장
아주 좋은 자리를 마련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 드리겠습니다. 품격있는 문화, 이런 것이 기술과 기능만 전수되고 그 품격있는 정신문화가 단절된 게 아닌 가 하는 우려가 조금 있습니다?
서도식 / 한국문화재재단 이사장
오늘 아카이브 전으로 준비한 선생님의 소중한 작품과 자료들을 내어주신 유족 여러분들과 전승자분들에게 이 자리를 빌어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김철주의 유산을 통해 한국 금속공예의 새로운 경지 개척
김철주의 생애와 예술세계 재조명
손영경 / 큐레이터
김철주 선생님께서는 한국전통금속조각장으로 활동하셨고 또 중요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셨는데요 김철주 선생님의 부친이신 김정섭 선생님께서 제 1대 조각장 기능 보유자셨어요 그래서 부친의 영향력 아래 함께 성장하며 자연스럽게 전통 금속조각의 명맥을 이어 온 유일한 한국금속조각장으로 활동했던 분입니다
1부 전승(傳承) - 한국 금속공예의 맥
2부 수신(修身)으로서의 조각
3부 창신(昌新) - 조각의 생명력
손영경 / 큐레이터
이번 전시는 총 3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첫 번째 공간은 ‘전승(傳承)’이라는 주제 아래 김정섭 선생님과 김철주 선생님 2대에 걸쳐 공유하셨던 장인으로서의 태도, 조각장의 예술 세계등을 살펴볼 수 있는 공간이고 2장은 김철주 선생님의 작품세계를 집중해서 조각의 작품들이 시대마다 변화하는 지점들을 살펴보시도록 기획이 됐습니다 마지막 3장은 김철주 선생님의 제자분들의 작품들을 전시하여 교육자로서 선생님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또 한국전통금속조각이 현대에 어떻게 재해석되고 있는 지 확인하실 수 있는 공간입니다. 아카이브전을 통해 한국 전통 금속조각기법의 가치 되살려
남윤주 / 관람객
오늘 이 곳에 와서 김철주 조각장님의 다양한 작품 볼 수 있었는데 이 분의 작품을 보면서 우리가 앞으로 이런 맥을 이어가기 위해서 많은 관심과 노력을 해야겠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조각장 김철주와 그의 유산, 일심유정 3월 30일 ~ 5월 11일 /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약력

  • 1933년출생
  • 1967년백하금속조각연구소에 종사
  • 1971년서라벌예대 공예과 조각 전수조교
  • 1978년~1986년전승공에대전 입선, 장려상
  • 1989년국가무형유산 조각장 기능보유자 인정
  • 1989년~2012년국가무형유산 보유자 작품전 출품 및 전수교육 활동
  • 2007년2007 무형문화재초대전 “김철주 조각전” 개최
  • 2013년국가무형유산 조각장 명예보유자 인정
  • 2015년별세
  • 글 이치헌 (국가유산진흥원 전승지원실장 / 「인간, 문화재 무송 박병천」 저자)

  • 사진 서헌강(문화재전문 사진작가)

갤러리

금오동입상감보석함_17x9cm.jpg

금오동입상감보석함_17x9cm

금은입상감십장생-세트.jpg

금은입상감십장생-세트

금은입상감향로분세트_13.jpg

금은입상감향로분세트_13

오동입상감호리병_29.jpg

오동입상감호리병_29

용_78x58cm.jpg

용_78x58cm

은사리함.jpg

은사리함

은입상감보석함_19x12x6.jpg

은입상감보석함_19x12x6

은입상감호리병_28.jpg

은입상감호리병_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