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전시
공연/전시 일정
소개
■ 공연 개요
○ 공연명 : 이강산 두번째 해금 독주회 [렉쳐 콘서트 마주; 奚해]
○ 일시 : 2023. 12. 01 19:30
○ 장소 :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
○ 티켓 : 전석1만원
○ 주관 : 이강산
○ 후원 :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 예매 : 인터파크 예매
○ 문의 : 아트컴퍼니 다뮤 010-4860-4042
■ 공연 안내
해금연주자 겸 연구자, 이강산 박사가 들려주는 '해금의 역사' 이야기!
세종실록,악학궤범,기산진표리진찬의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복원한 古해금
A부터 Z까지 해금 역사의 변천을 이강산 박사의 차분한 스토리텔링과 국내 정상급연주자들의 연주로 함께 합니다.
매력적인 악기, 해금을 좀 더 깊숙히 알고 싶은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모시는 글
- 어느덧 2023의 끝자락에 들어선 12월의 첫날, 차가운 공기가 코끝을 감도는 이 계절에 따뜻 한 발걸음으로 이강산의 두 번째 해금 독주회 '렉쳐콘서트 마주: 해에 함께해주신 관객 여 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독주회 '렉쳐콘서트 마주: 해'는 해금 연주자인 제가 해금을 더욱 깊숙이 마주하고자 하는 마음, 그리고 관객 여러분들에게 해금과 가까이 마주하기를 바라는 마음, 두 가지 바람 을 담아 준비했습니다.
해금의 역사적 변천, 기원, 형태와 운지법 등은 학창시절부터 참으로 흥미로운 주제였습니 다. 그 시절의 해금 소리는 어떠했는지, 그 시절의 해금이 들어간 그 당시의 곡은 어떠했는 지, 형태와 운지법은 왜 그렇게 변화한 것인지, 궁금증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호기심을 자극 하였습니다. 그리고 작년 박사과정에서 이를 주제로 깊은 연구 끝에 박사학위 논문 [해금의 역사적 변천 연구: 기원, 형태, 운지법을 중심으로]을 완성하였습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해금 전공자인 본인도 몰랐던 흥미로운 사실들이 많았고, 이는 연구로만 끝날 것이 아니라 상상 속에 있던 것들을 현실로 끌고 나와 무대에 세우고 많은 사람들과 나 누고 싶다는 희망을 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렉쳐콘서트 마주 해'를 통해 그 꿈이 실현되어 더할나위 없이 기쁩니다.
오늘은 국내 최초로 과거 조선시대의 해금을 직접 복원하여 그 모습과 소리를 선보이고, 역 사적 흐름에 따른 해금의 변화를 사료들을 토대로 강의함과 동시에 그 당시의 음악을 직접 재창작한 연주까지 다채로운 무대를 선보이고자 합니다. 오늘 공연을 통해 잊혀졌던 음악이 세상에 나오고, 그 과거의 소리가 지금도 살아 숨 쉬고 있다는 것을 관객분들이 느끼시기를 희망합니다.
앞으로도 해금과 함께하며 연주와 강의로, 여러분들과 마주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오늘의 연 주가 있도록 많은 가르침을 주신 스승님들, 동료들, 가족들 그리고 관객 여러분께 감사의 인 사전합니다.
이강산 드림
○ 이강산 프로필
[학력]
-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사 졸업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전문사 졸업
- 한양대학교 음악연주학 박사
[경력]
- 국가무형문화재 종묘제례악(해금) 전수자
- 서울시무형문화재 삼현육각(해금) 전수자
- 국립국악고등학교 출강
- 국립국악중학교 출강
[수상]
- 2021 제39회 전국국악대제전 일반부 관악부문 준우수상
- 2015 한국예술종합학교 최우수 졸업상
- 2014 제30회 동아국악콩쿠르 해금부문 금상
- 2010 제12회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경연대회 현악2부 1등
[주요연주]
- 2023 이강산 첫번째 해금독주회 상선약수
- 2022 제3회 'ᄎᄎ하다페스티벌' 지영희류 해금산조 연주
- 2020 국립국악원 유튜브 '희망on' 촬영
- 2019 한국문화재재단 '율객' 지영희류 해금산조 연주
- 2017 국립국악원 목요풍류 '젊은산조' 지영희류 해금산조 연주
- 2017 가얏고을아트홀 2인국악제 길' 지영희류, 김영재류 해금산조 연주
[논문]
- 초등학교 학년 수준별 단계적 해금 지도법 연구 : 방과후 학교를 중심으로
- 해금의 역사적 변천 연구 : 기원, 형태, 운지법을 중심으로
[사사] *가나다순
- 김성아 김영재 김애라 안재숙 윤문숙 이기설 이동훈 정수년
○ 프로그램 안내
- 렉쳐1. 해금의 기원
- 렉쳐2. 古해금의 형태
- 연주1. 고 가요 사모곡, 청산별곡, 서경별곡
- 연주2. 세종조 봉래의 중 취풍형 1~5장
- 렉쳐3. 해금 연주법의 변화
- 연주3. 경기 대풍류
- 연주4. 여창가곡 편수대엽 [모란은]
- 연주5. 지영희류 해금산조
○ 출연
- 해금 이강산
- 장구 이민형
_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고법 이수자
_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및 전문사 졸업
_ 한양대학교 음악대학원 박사과정
_ 전통음악집단샛 대표
- 대금 변상엽
_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단원
_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및 전문사 졸업
_ 제29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금상
_ 전통음악집단샛동인
- 피리, 이찬우
_ 국가무형문화재 가곡 이수자
_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졸업 및 전문사 수료
_ 정가앙상블 Soul지기 동인
_ 제39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정가부문 금상
- 정가 조의선
_ 국가무형문화재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
_ 서울시무형문화재 삼현육각 이수자
_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및 전문사 졸업
_ 시흥시립전통예술단 수석단원
- 거문고 김민주
_ 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
_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_ 국가무형문화재 가사 전수자
_ 제32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거문고부문 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