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전시
공연/전시 일정
소개
1. 공연명 : 초망 : 나의어머니 _ 동해안무악의 변화
2. 일시 : 2024.12.13.(금) 19시
3. 장소 : 한국문화의집 KOUS
4. 예매 : 현장발권 (홍보링크 https://m.site.naver.com/1ybbU)
5. 주최/주관 : 김일현
6. 신청방법 : 현장발권
7. 가격(티켓) : 전석초대
8. 문의처 : 김일현 010-2114-6438
<프로그램 소개>
○ 부정
- [가사(가셔)내다.
- 부정한 요소를 정화하고 가셔낸다. 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공간, 현재의 무대와 객석 등을 정화하고 경건하게 한다. 또한 신이 좌정 할 자리를 마련한다. 부정굿의 음악적 형태와 기초를 통해 여러 악기들의 얽힘과 어우러짐을 통해 부정한 것이 가셔진다
○ 기원
- 조우하다.
- 본인의 장구와 목소리를 통해 각개 각신을 청하여 부르고 조우하여 시작을 알린다. 푸너리와 베기장의 기준박이 같다는 점을 이용해 음악이 진행되며, 본인만의 오구굿 시작한다.
○ 소지
- 부르다
- 동해안 오구굿의 초망자굿을 통해 망자를 “ 초 ” 하는 거리로 , 망자(김일현의 母)를 불러 한과 원풀이를 이어간다. 초망자굿은 망자를 위한 굿거리로 동해안 오구굿에서 가장 중요한 거리이기도 하다.
○ 초망
- 회상하다
- 어머니를 회상하여, 그리움을 노래한다. “인간은반드시 죽는다”. 라는 대전제를 통해 피할수 없는 죽음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악기들의 다양한 소리와 노래를 통해 표현한다
○ 지옥
- 면하다.
- 망자가 열 지옥을 면해서 극락에 도달하길 비는 노래 지옥가를 기조로 재구성 하였으며, 서방정토 극락의 주인인 아미ᄐᆞ불의 ‘경’을 읆으며 어머니가 극락세계로 인도받아 가길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다.
○ 배웅
- 보내다.
- 망자를 보내드리는 의미로서 어머니를 다시 신들의 세계인 하늘로 보내드린다. 동해무악의 수부채를 주제로 하여 느린 호흡으로 시작하여 속도감을 점차 더해 무대 밖으로 인도하며 돌아가는 모습을 형상화 한다.
<출연진>
○ 타악 - 김일현
○ 무녀 - 양보나
○ 타악 - 이충현
○ 아쟁, 칠현금 - 정보영
○ 피리, 태평소 - 성상윤
○ 가야금 - 이토사리아
○ 대금 - 박수현
○ 건반 - 이형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