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
행사일정

소개
대한민국 어린이 국악큰잔치 결선(시상식), 장소 변동 안내
[변경후]
○ 일시 : 2023. 7. 23.(일)
○ 장소 :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
1. 대회 개요
○ 대 회 명 : 제21회 대한민국 어린이 국악큰잔치
○ 주 최 :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 주 관 : 한국문화재재단
○ 후 원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악원
2. 대회 일정
구분 | 일자 | 장소 | 비고 |
공고 | 2023. 4. 10.(월) ~ 6. 16.(금) | - |
|
참가접수 | 2023. 6. 5.(월) ~ 6. 16.(금) | - | ‧ 한국문화재재단 누리집 안내 |
예선심사 | 2023. 7. 4.(화) 예정 | 비대면 심사 | ‧ 비대면 온라인 심사 |
예선심사 | 2023. 7. 11.(화) | - | ‧ 한국문화재재단 누리집 안내 ‧ 결선참여대상자, 장려상, 특별상 발표 |
결선 및 시상식 | 2023. 7. 23.(일) |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 | ‧ 예선심사결과 1~3위 참여 |
3. 경연 부문
○ 참가 곡목은 제한 없음(예선/결선 동일한 작품으로 가능), 경연 시간은 5분 이내
○ 최근 3개년(2021년도, 2022년도)* 대회 대상 수상자는 금년도 대회 참가 불가
* 2020년도 미개최
○ 개인별 1종목 이상 중복 참가 불가
부문 | 종목 | 참가인원 | 비고 |
관악(민속, 정악) | 대금, 소금, 피리, 해금, 단소 등 | 10인 이내 | 창작곡 제외 |
현악(민속, 정악) | 가야금, 거문고, 아쟁, 비파 등 | ||
민 요 | 경기민요, 서도민요, 남도민요 | ||
병 창 | 가야금 | ||
무 용 | 전통춤 | 창작무 제외 | |
판 소 리 |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심청가, 춘향가 | 1인 | 창작곡 제외 |
풍 물 | 풍물놀이, 사물놀이, 타악 등 | 15명 이내 | 창작곡 제외 |
4. 참가 신청서 접수
○ 참가대상 : 대한민국 어린이(8~13세(2011~2016년도 출생자 限))
○ 접수기간 : 2023. 6. 5.(월) ~ 6. 16.(금) / 12일간
○ 접수방법 : 한국문화재재단 누리집(www.chf.or.kr)을 통한 온라인 접수
(‘참여/소식’ → ‘참여’ → ‘지원/접수’ 메뉴 → ‘대한민국 어린이국악큰잔치’)
https://www.chf.or.kr/participation/list/menu/387?nodeIdx=813&type=1
* 세부 내용은 홈페이지 내 접수가이드 참고
* 방문 및 우편, E-메일 접수 불가
○ 제출서류
| 제출서류 | 수량 | 상세내용 |
1 | 참가신청서 | 1부 | 한글파일 지정 양식 |
2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서 | 1부 | 한글파일 지정 양식 |
3 | 경연곡 악보 및 가사 | 1부 | 기악, 소리 분야 별도 첨부 / 파일형식 : PDF |
4 | 시연영상 | 1식 | 5분 이내, 유튜브 업로드 후 URL링크 제출 (일부공개, 참가신청서 > 시연영상 URL란 기재) |
5 | 증명사진 | 1장 | • 개인 : 4x6 반명함판, 300KB 이상 고화질 이미지 파일 • 단체 : 참가자 전원이 나온 300KB 이상 고화질 이미지 파일 ※ 프로그램북 제작에 사용 |
6 | 단체참가자 명단 | 1부 | 단체팀만 제출 (참가자 전원 명단 제출) / 한글파일 지정양식 |
5. 시상 내역
시상부문 | 훈격 | 대상자 | 인원 | 시상금 |
대상 |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 결선경연(7개 부문 1위) | 1 | 100만원 |
금상 | 문화재청장상 | 각 부문 1위 입상자 | 6 | 60만원 |
은상 | 국립국악원장상 | 각 부문 2위 입상자 | 4 | 50만원 |
국립무형유산원장상 | 3 | 50만원 | ||
동상 | 한국문화재재단 이사장상 | 각 부문 3위 입상자 | 7 | 40만원 |
장려상 | 한국문화재재단 이사장상 | 각 부문 4, 5위 입상자 | 14 | 20만원 |
특별상 | 한국문화재재단 이사장상 | 각 부문 6, 7위 입상자 | 14 | 20만원 |
지도자상 | 국립무형유산원장상 | 대상 지도자 1팀 | 1 | 상패 |
6. 심사 항목 및 순위 결정
심사항목 | ||
표현력(50%) | 음정·박자(25%) | 예술성(25%) |
○ 채점 집계결과 평균점수 상위 순으로 결정
○ 동점일 경우 1)고학년 2) 다수 참가자 3) 심사위원 합의 순으로 순위 결정
7. 심사회피제도
○ 참가자는 직접스승 및 8촌 이내 친인척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하였을 경우, 지체없이 심사회피를 신청하여야 함
○ 회피신청 사유가 있었음에도 신청하지 않았을 경우 수상이 취소될 수 있음
※ 직접 스승의 판단
구분 | 내용 |
학교(전공 선생 및 전공 강사 포함) | 현재를 포함한 최근 3년 이내 학교에서 전공과목을 지도받은 경우 |
학교 외(개인적인 지도 스승) | 현재를 포함 최근 3년 이내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지도받은 경우 |
8. 기타
○ 2021년도, 2022년도 경연대회 대상 수상자는 금년도에 참가할 수 없음
○ 대상 수상분야 금상 시상 없음
○ 경연 시간은 대회 당일 심사위원들의 합의로 조정할 수 있음
○ 경연 시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명서류(건강보험증 등) 지참
○ 아래와 같은 결격 사유가 발견될 경우 입상 자격을 취소함(상장 및 상금 반환)
- 본 경연대회 참가 자격에 적합하지 않은 자가 입상한 경우
- 심사위원 회피사유가 있음에도 심사회피를 신청하지 않은 자가 입상한 경우
-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입상한 경우
9. 참가자 안내사항
○ 예선경연
- 온라인 서류접수
참가신청서, 개인정보 수집•이용동의서의 파일명은 “OO부문 참가신청서_지원자 OOO”, “OO부문 개인정보 수집•이용동의서_지원자 OOO”로 기재 후, Alzip파일로 압축하여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 영상촬영
<영상 촬영 유의사항>
(1) 영상 도입부 [ⓛ촬영일자 ②참가자명 ③곡명]을 기입한 종이를 화면에 보인 후 시연 시작 (예시사진 삽입)
(2) 대회 참가자만 출연하도록 촬영(장단연주자/지도자/촬영자는 영상에 보이지 않도록 함)
(3) 별도 음향기기 사용 불가(마이크 등)
(4) 화면 전환 및 편집 불가(자막, 효과 등)
→ 상기 내용 중 1가지 이상의 사항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예선 심사에서 해당 참가자는 <감점처리> 예정이오니 시연영상 촬영 및 제출 시 반드시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유의사항
(1) 시연시간 : 5분 이내
(2) 시연의상 : 제한없음
○ 예선결과 발표
- 결선 경연 진출자 및 장려상·특별상 수상자 명단은 7. 11.(화) 13:00 이후 한국문화재재단 누리집(www.chf.or.kr) ‘참여/소식’ → ‘문화달력’ → ‘주요알림’을 통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결선경연
※ 결선경연 관련 자세한 사항은 예선결과 발표 시 재공지할 예정이니 추후 반드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일시 : 2023. 7. 23.(일) 13:00 (집합시간 및 준비사항 등 추후 재공지)
- 장소 :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 / 지하철 3번출구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06 (삼성동 112-2))
- 경연참여대상 : 예선심사 결과 각 부문 1위~3위 참여자
- 경연장 출입가능인원 : 예선 통과자(1명), 보호자(4명)
*사전 제출한 출입가능인원 외 인원에 대한 경연장, 대기실 출입 불가하며 모든 경연장 출입인원은 발열체크를 완료 하여야 함.
- 기타사항
‧ 결선 심사 결과는 전 부문 심사가 완료되는 7. 24.(월)에 한국문화재재단 누리집 (www.chf.or.k) ‘참여/소식’ → ‘참여’ → ‘공지사항’을 통해 공지됩니다.
‧ 경연장 내 주차장이 협소하오니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점심식사는 별도로 제공되지 않으며 경연장 내(대기실, 휴게실, 로비 등 건물 전체) 음식물 취식 및 취사가 금지되어 있으니, 경연장 인근 식당 등에서 식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문의사항이 있으실 경우, 한국문화재재단 공연기획팀(02-3011-1728 / 문의시간 : 매주 월~금요일, 09:00-18:00)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